아마존 주가가 연일 지붕을 뚫으면서 국내 투자자들 사이에서도 아마존 주식 '직구 열풍'이 불고 있다. 예탁결제원에 따르면 지난 1분기 말 기준 국내 투자자가 보유한 외화주식 중 아마존이 가장 많은 지분을 차지했다. 규모는 총 5억7300만달러(6200억원)에 달했다. 아마존은 국내 투자자의 해외주식 보유량 순위에서 지난해 같은 기간 10위권에도 못 들었지만, 미국 IT주 유행에 힘입어 1년만에 선두 자리를 꿰찼다. http://news1.kr/articles/?3317037
찾아본다고 여기저기 기웃거렸는데 통계청 발표 가장 최신 자료가 2015년 자료입니다. 감안하고 봐주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자영업자, 일용업자 등을 제외한 순수 직장인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자료이며 금액은 세전입니다. ▲연령별 중위소득, 평균소득 수준 평균은 말 그대로 평균 소득이고, 중위소득은 1~100명까지 소득 순서로 쭈욱 나열했을 때 딱 중간인 50명 째인 사람의 소득이라고 합니다. 평균소득 30대 319만원 40대 383만원 50대 386만원 60대 256만원 전체 329만원 ▲소득분위별 근로자 평균연봉 현황 이건 소득별로 내가 받는 급여가 어느 수준인지 확인할 수 있는 자료입니다. 이 그림을 보면 내 급여가 전체에서 몇%인지 알 수 있습니다. 연봉이 4,625만원이라면 상위 20%, 3,640만원..
안드로이드 해상도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크기의 단위(Dipmension)인 DP의 개념을 먼저 잡고 출발해야 합니다. 그래서 DP에 대한 설명을 먼저 드리고 이어서 DPI, px에 대해서도 알아보겠습니다. DIP (Device Independent Pixels) or DP 안드로이드에서 사용하는 독립적 단위 수치입니다. 어떠한 해상도에서도 같은 크기를 보여주는 것이 목적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DPI(Dots Per Inch) 1인치(2.54 센티미터)에 들어있는 픽셀의 수입니다. 안드로이드에서는 160을 기본으로 합니다. px(pixel) 스크린의 실제 픽셀 단위를 사용합니다. 실제 크기나 밀도와 상관 없습니다. 그리고 위에서 설명한 용어와 함께 아래 변환식 하나만 잘 외워주시면 안드로이드 해상도 공부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