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akCanary Leak Canary 경우 메모리 누수를 감지해주는 디버깅 툴이다. 액티비티에서 메모리 누수가 발견될경우 사용자에게 알람을 띄워주며, 별도의 프래그먼트에서 누수를 감지하고싶으면 refWatcher로 집어넣어준다음에 onDestory 가 호출될때 refWatcher도 별도로 호출해야한다. 사용법 dependencies { debugCompile 'com.squareup.leakcanary:leakcanary-android:1.5' releaseCompile 'com.squareup.leakcanary:leakcanary-android-no-op:1.5' testCompile 'com.squareup.leakcanary:leakcanary-android-no-op:1.5' } @Overr..
0%가 완전 투명, 100%가 불투명입니다. 즉, 50%에 해당하는 투명도를 적용한 흰색을 나타내기 위해서는 아래와 같이 ARGB값을 써주시면 됩니다. #80FFFFFF 100% = FF 99% = FC 98% = FA 97% = F7 96% = F5 95% = F2 94% = F0 93% = ED 92% = EB 91% = E8 90% = E6 89% = E3 88% = E0 87% = DE 86% = DB 85% = D9 84% = D6 83% = D4 82% = D1 81% = CF 80% = CC 79% = C9 78% = C7 77% = C4 76% = C2 75% = BF 74% = BD 73% = BA 72% = B8 71% = B5 70% = B3 69% = B0 68% = AD 67% =..
1. Method 이름은 "동사"로 시작하는 "동사구" 형태를 사용하되, 동사 원형만을 사용합니다. ex) showList, updateContacts 2. 한 단어 내에서는 대소문자 변경 없이 사용합니다. ex) InVisible -> Invisible, UnSelect -> Unselect 3. 약어 사전에 있는 단어는 되도록 약어를 사용합니다. ex) UserInterface -> UI or Ui 4. 자주 사용하는 동사는 용법에 맞게 사용합니다. show: Invisible한 것을 Visible하게 바꾸는 동작 check: 어떤 것을 확인한 후 boolean 또는 값으로 반환하는 동작 is: 어떤 것인지 확인한 후 boolean으로 반환하는동자 has: 어떤것을가지고 있는 확인 후 boolean으..
이번 시간에는 복잡한 xml을 좀 더 보기좋고 효율적으로 바꿀수 있는 xml tag(include, merge)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tag 사용 먼저 태그를 사용하면 레이아웃을 여러 파일로 나눌 수 있습니다. 복잡하거나 아주 긴 GUI를 구현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reuse_item1.xml, reuse_item2.xml 파일을 사용하여 복잡한 레이아웃을 구성한다고 가정하고, 해당 activity의 xml(이름은 main_activity로 하였습니다.)을 작성해 봤습니다. main_activity.xml 이제 activity의 xml을 작성했으니 reuse_item1.xml 및 reuse_item2.xml 도 작성해보겠습니다. reuse_item1.xml reuse_item2.xml 각 xml들은 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