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드로이드 해상도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크기의 단위(Dipmension)인 DP의 개념을 먼저 잡고 출발해야 합니다. 그래서 DP에 대한 설명을 먼저 드리고 이어서 DPI, px에 대해서도 알아보겠습니다. DIP (Device Independent Pixels) or DP 안드로이드에서 사용하는 독립적 단위 수치입니다. 어떠한 해상도에서도 같은 크기를 보여주는 것이 목적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DPI(Dots Per Inch) 1인치(2.54 센티미터)에 들어있는 픽셀의 수입니다. 안드로이드에서는 160을 기본으로 합니다. px(pixel) 스크린의 실제 픽셀 단위를 사용합니다. 실제 크기나 밀도와 상관 없습니다. 그리고 위에서 설명한 용어와 함께 아래 변환식 하나만 잘 외워주시면 안드로이드 해상도 공부의..
개발을 하다보면 필수인 로그!!오늘은 안드로이드 로그 꿀팁을 여러분에게 공유 해드리고자 합니다. 개발자들의 문제 분석에 많은 도움이 되는 로그, 로그가 없는 개발은 상상한 적이 없습니다.하지만 과도한 로그 사용은 성능문제와 함께 오히려 로그 분석이 더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개발자의 친구 로그 그래서 보통은 클래서 내부에 flag를 두고 on/off하여 사용하는데요. 이 경우 문제점은 정적으로 flag값이 쓰여졌기 때문에 로그를 껐다가 다시 켜고 싶은 경우 혹은 그 반대의 경우에 다시 앱을 빌드하여 실행해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합니다. public class View implements Drawable.Callback, KeyEvent.Callback, AccessibilityEventSource { p..
오늘은 안드로이드에서 동작하는 Color Picker 툴을 소개 해 드리겠습니다.Color Picker 라는 용어가 생소할 수도 있는데,색상값(ARGB)을 헥사값으로 추출하는 것을 말합니다. 바로 Pixolor 인데요. Pixel과 Color의 합성어 같습니다. ☺ Play store에서 Pixolor로 검색하시면 됩니다. 이렇게 생겼습니다. ▲ play store속의 pixolor 소개 썸네일만 보셔도 대충 감이 오시죠? 그럼 직접 실행을 해보겠습니다. ▲ 다른 앱 위에 뜬 pixolor의 모습 위와 같이 둥근 원 형태의 앱이 깔끔하게 뜨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Pixolor은 다른 앱 위에 뜨는 앱입니다. 그래서 굳이 캡쳐 할 필요 없이 확인하고 싶은 앱 위에 띄워놓고 위치를 이동해가며 색상 값을..